블로그 이미지
Coolpepper
Bienvenidos todos q'quieren compartir mi punto de vista :D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Notice

'Equalizer'에 해당되는 글 2

  1. 2010.10.22 Equalizer tip - 2. Bass 특화편
  2. 2010.09.07 Equalizer Tip!
2010. 10. 22. 14:17 Sonidos e Instrumentos

전에 스크랩질 해놨던 Equalizer tip은 전체적인 사운드를 잡는
엔지니어 입장에서의 팁이라면 요건 베이스 사운드에 중점을 두었다고
할 만 하겠다.

나는 이런 전문적인 지식 없이,
한 6~7년여 전 쯤 Foobar EQ 켜놓고 노래 들어가면서
요거 올렸다 조거 올렸다 이거 뺐다 저거 넣었다 이리저리
장난 치면서 소리 차이를 알아내는 취미에 잠깐 맛들였더랬다.

그 때 왜 그랬냐면, 한참 음악을 듣다가 그제서야 드디어
사운드에 대해 귀가 트일까 말까 하던 즈음

항상 음악을 MD로 듣고 다녔기 때문이다.

이제야 재생 시에 요리조리 돌려가며 들으면 그만인 MP3 라지만

MD는 굽는 형식은 CD 이되 녹음 형식은 테이프다.
그 말인 즉슨, 세팅된 소리가 그대로 MD에 얹힌다는 것.

따라서, 뭔가 맘에 안 들면 MDP엔 EQ가 해봐야 Bass 세기 정도니까
직접 녹음할 때 바꿔야 한다는 뜻이 된다.

그 때나 지금이나 음악 듣는 건 내 맛깔나는대로니까
어디에 크게 물어보지도, 어디를 크게 찾지도 않고
그냥 삘 꽂히는 대로 흘러가는대로 조작하고 들었지만

돌이켜보면 그 때가 가장 순수하게 음악을 사랑하던 때였다.
그저 좋아서 그 삽질을, 알지도 못하면서 해댄 거니까.

암튼..지내 오면서 지식으로서 이런 걸 알아두는 게 스스로에게도
기계에도, 또 귀에도 좋겠다 싶어서

좋은 글이 있으면 출처 표기 -> 스크랩질을 하기로 했다.
이전에는 즐겨찾기 해놓고 수시로 가서 봤는데,
이게 조회하는 반경이 넓어지니까 어디 가서 봐야하지? 라며
헷갈리기 시작해서 내 공간에 깔때기처럼 모아두는 게 더 편해졌다 =ㅅ=.

서론이 기넹.

암튼, 좋은 정보다 +_+

============================================================================================================




출처 1: FallingStars 24Hours MusicNetwork

         http://fallingstars.co.kr/stars/zboard.php?id=data_download&no=11

출처 2: 베이스 코리아 네이버 까페 (하이퍼링크가 안 되넹 ㅜ)

▶이퀼라이져의 각 주파수대가 갖는 특성을 간단하게 설명한다.해당 주파수를 살리거나 죽일때 나타나는 사운드의 변화를 느껴보고 어떤 악기가 어떤 주파수대에 영향을 받는지 알아보자

◈ 50Hz : 이들 주파수(Frequency)의 부스트는 저주파수 특성이 강한 악기인 킥드럼,텀텀 그리고 베이스등에 대한 꽉찬 사운드감을 더하도록 한게된다.  
이들 주파수에 대한 커트 작용은 베이스의 뭉툭한 사운드 특성을 낮추게 되며 베이스 사운드의 오버톤을 증가시키고 베이스 라인이 전체 믹스내에 보다 명료하게 나타나도록 한다. 이들은 주로 강한 베이스 라인이 돋보이는 록베이스에 많이 적용된다.

◈ 100Hz : 이들에 대한 부스팅은 저 주파수 악기에 대하여 하드한 베이스 사운드를 더하게 하며  기타와 스네어 사운드를 보다 꽉차게 한다. 피아노와 혼 악기의 사운드를 보다 따듯한 음색으로 전한다.  
이들에 대한 커팅은 기타의 뭉특한 사운드를 없애고 그들을 보다 명료하게 하는데에 도움이 된다.

◈ 200Hz : 부스팅은 보컬 사운드를 보다 풍부하게 하며 하드한 기타와 스네어 사운드를 보다 풍부하게 한다.  
커팅 작용은 중간 주파수 특성이 강한 악기와 보컬의 답답한 사운드 특성을 덜하게 한다.  
심벌의 공 사운드 특성을 줄이게 된다.

◈ 400Hz : 부스팅 작용은 낮은 스피커 레벨 상태에서도 베이스 라인이 명료하게 전해지도록 하는데에 도움을 준다.  
이들에 대한 커팅 작용은 킥과 텀과 같은 저주파수 드럼의 "퍽' 퍽 거리는 카드보드 사운드 특성을 줄이며  심벌 사운드 상에 나타나는 엠비엔스 사운드 특성을 줄이게 된다.

◈ 800Hz : 부스팅은 베이스의 펀치한 감과 명료성을 전한다.  
커팅 작용은 기타의 값싼 또는 가벼운 사운드 특성을 줄이게 된다.

◈ 1.5KHz : 부스팅 작용은 베이스의 플럭크 (쵸퍼 사운드)와 명료성을 전한다.
커팅 작용은 기타의 뭉특한 사운드 특성을 없앤다.

◈ 3KHz : 부스팅 작용은 베이스의 보다 증가된 플럭크 사운드 특성을 전한다.
어쿠스틱과 일렉트릭 기타의 어택 사운드를 전한다.  
피아노 저음 건반들에 대한 어택 특성을 증가 시킨다.  
보다 강하고 명료한 보이스 특성을 내보이게 한다.
커팅 작용은 은은하고 소프트한 백그라운드 보컬 사운드 특성을 전한다.  
보컬과 기타의 약한 오프 튜닝 상태를 가리는 역활을 하게된다.

◈ 5KHz : 부스팅은 보컬의 프레젠스한 감을 더하게 된다.
킥과 텀과 같은 저주파수 특성의 드럼 사운드의 어택 특성을 전한다.
베이스의 핑거링 특유의 사운드 (핑거 노이즈) 특성을 증가시킨다.  
피아노와 어쿠스틱 기타의 어택 증가와 록 기타 사운드를 보다 밝게 나타나도록 한다.
커팅 작용은 백그라운드 파트 부분을 보다 먼거리 상에서 전해지는 것과 같이 나타내도록 한다.  
얇은 음색의 특성을 내보이는 기타의 사운드를 보다 부드러운 사운드로 만들어 준다.

◈ 7KHz : 부스팅은 저주파수 특성의 드럼의 어택을 증가시키고 금속성 특성이 보다 강한 사운드를 내보이도록 한다.  
타악기의 어택 사운드 특성을 증가 시킨다.  
답답한 사운드 특성의 가수에 사용한다.  
어쿠스틱 베이스의 핑거 사운드를 증가 시킨다.  
신서사이져, 록 기타, 어쿠스틱 기타 그리고 피아노의 샤프한 사운드 특성을 증가 시킨다.
커팅은 가수의 시빌란스 특성의 사운드인 "스" 사운드를 줄이는데에 사용한다.

◈ 10KHz : 부스팅은 보컬의 음색을 보다 밝게 한다.
어쿠스틱 기타와 피아노 사운드 음색을 약간(가볍게) 밝게 한다.  
심벌의 하드한 사운드 특성을 전하게 한다.  
커팅 작용은 가수의 "스" 사운드를 줄이도록 한다.

◈ 15KHz : 부스팅은 보컬의 부드러운 숨소리와 같은 사운드들을 보다 밝은 음색을 내보이도록 한다.
심벌, 현악기 그리고 플룻등의 악기의 음색을 보다 밝게 한다.  
샘플러 사용의 신서사이져 사운드를 보다 실제 악기의 사운드와 같게 나타나도록 한다.  

  
※이퀼라이져의 섬세한 조정, 또는 과감한 조정등으로 실제악기 소리보다 더 듣기 좋은 음색을 표현 할 수 있다.(Mix Down 시에) 음악을 감상할때도 어느정도의 이큐조정을 통해 보다 더 풍부한 음악감상을 즐길 수 있다.

'Sonidos e Instrument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베이스 점검 견적 ㅜ  (0) 2010.10.25
R.Cocco 수제 베이스 줄  (0) 2010.10.22
이어폰 간단 후기-2. Phonak PFE 112  (0) 2010.10.11
Yamaha Motif ES7  (0) 2010.09.09
Wood Description  (0) 2010.09.07
posted by Coolpepper
2010. 9. 7. 15:23 Sonidos e Instrumentos
 
50Hz

1. Increase to add more fullness to lowest frequency instruments like foot, floor tom, and the bass.

 킥베이스나, 플로어 탐탐, 베이스와 같이 낮은 주파수대의 악기의 꽉찬 느낌을 더하고 싶을때 증가시키십시오.

2. Reduce to decrease the "boom" of the bass and will increase overtones and the recognition of bass line in the mix. This is most often used on loud bass lines like rock.

베이스의 “부밍”을 감소시키고, 믹스시에 베이스의 오버톤과 베이스 라인(베이스의 움직임)이 조금 더 잘 느껴지고자 할 때 이 대역을 낮추십시오. 이것은 락과 같은 시끄러운 베이스 라에 주로 사용됩니다.




100Hz

1. Increase to add a harder bass sound to lowest frequency instruments.

낮은 주파수대역의 악기들의 단단함을 더해주고자 할때, 이 대역을 올리십시오.

2. Increase to add fullness to guitars, snare.

기타와 스내어의 꽉찬 소리를 더하고 싶을 때, 이 대역을 올리십시오.

3. Increase to add warmth to piano and horns.

피아노와 혼(나팔, 브래스 따위의)의 따뜻함을 더해주고 싶을 때 이대역을 올리십시오.

4. Reduce to remove boom on guitars and increase clarity.

기타의 부밍을 감소시키고, 명료도를 올리고 싶을때 이대역을 감소시키십시오.




200Hz

1. Increase to add fullness to vocals.

 보컬의 꽉찬 소리를 더해주고 싶을 때, 올리십시오

2. Increase to add fullness to snare and guitar (harder sound)

 기타와 스네어의 꽉참을 더해주고 싶을 때 증가시키십시오(보다 단단한 소리).

3. Reduce to decrease muddiness of vocals or mid-range instruments.

 중음역대 악기들이나 보컬의 무딘소리를 감소시키고 싶을 때 낮추십시오. 

4. Reduce to decrease gong sound of cymbals.

 심벌의 gong sound(?)를 감소시키고 싶을때 낮추십시오.




400Hz

1. Increase to add clarity to bass lines especially when speakers are at low volumn.

 특별히 스피커의 볼륨이 낮을 때, 베이스라인의 명료도를 증가시키고 싶을 때, 증가시키십시오.

2. Reduce to decrease "cardboard" sound of lower drums (foot and toms).

 낮은 소리의 드럼(킥, 탐)의 “cardboard"(닿을때의 소리를 말하는 듯함)를 감소시키고자 할 때 낮추십시오.

3. Reduce to decrease ambiance on cymbals.

심벌의 잔향감을 낮추고 싶을때 낮추십시오.




800Hz

1. Increase for clarity and "punch" of bass.

 베이스의 명료도와 펀치감을 위해 증가시키십시오.

2. Reduce to remove "cheap" sound of guitars.

 기타의 “값싼” 소리를 제거하고자 할 때 감소시키십시오.




1.5KHz

1. Increase for "clarity" and "pluck" of bass.

베이스의 명료도와 결이 살아있는(?)소리를 위해 증가시키십시오

2. Reduce to remove dullness of guitars.

기타의 둔한 소리를 감소시키고자 할때 낮추십시오




3KHz

1. Increase for more "pluck" of bass

 베이스의 결을 더욱 강조하기위해 증가시키십시오.

2. Increase for more attack of electric / acoustic guitar

일렉/어쿠스틱 기타의 어택감을 강조하기 위해 증가시키십시오.

3. Increase for more attack on low piano parts.

 낮은 피아노파트의 어택감을 위해 증가시키십시오.

4. Increase for more clarity / hardness on voice.

 목소리의 명료도와 단단함을 위해 증가시키십시오.

5. Reduce to increase breathy, soft sound on background vocals.

 백그라운 보컬들의 숨소리를 감소시키고, 부드러운 소리를 위해 감소시키십시오.

6. Reduce to disguise out-of-tune vocals / guitars

음이 맞지않는 목소리나 기타를 감추고 싶을 때, 감소시키십시오.




5KHz

1. Increase for vocal presence.

보컬의 존재감을 위해 증가시키십시오.

2. Increase low frequency drum attack (foot / toms).

낮은 주파수대의 드럼(킥, 탐)의 어택감을 위해 증가시키십시오.

3. Increase for more "finger sound" on bass.

베이스의 “손가락 소리”를 더욱 얻고자 할 때 증가시키십시오.

4. Increase attack of piano, acoustic guitar and brightness on guitars (especially rock guitars).

피아노와 기타의 어택감과, 밝음을 증가시키고자 할 때(특별히 락기타), 증가시키십시오.

5. Reduce to make background parts more distant.

무대 뒤쪽에 위치한 파트를 더욱 멀리 있는것 처럼 느껴지게 하려 할때, 감소시키십시오.

6. Reduce to soften "thin" guitar.

 기타의 “얇은”소리를 부드럽게 하고자 할 때, 감소시키십시오.




7KHz

1. Increase to add attack on low frequency drums (more metallic sound).

낮은 주파수대의 드럼에게 조금더 어택감을 부여할 때, 증가시키십시오(더욱 금속성의 소리)

2. Increase to add attack to percussion instruments.

퍼커션 악기들의 어택감을 강조하고자 할 때 증가시키십시오.

3. Increase on dull singer.

둔한 목소리의 보컬에게 증가시키면 효과가 있습니다.

4. Increase for more "finger sound" on acoustic  bass.

증가시키면, 어쿠스틱 베이스의 “손가락 소리”를 더해줄 수 있습니다.

5. Reduce to decrease "s" sound on singers.

가수의 치찰음을(‘스’, ‘츠’ 등의 소리) 감소시키고자 할 때 낮추십시오.

6. Increase to add sharpness to synthesizers, rock guitars, acoustic guitar and piano.

신디사이저, 락기타, 어쿠스틱 기타와 피아노의 날카로움을 더하고 싶을 때, 증가시키십시오.




10KHz

1. Increase to brighten vocals.

보컬의 보다 밝은 소리를 위해 증가시키십시오.

2. Increase for "light brightness" in acoustic guitar and piano.

어쿠스틱 기타와 피아노의 밝은 소리를 위해 증가시키십시오.

3. Increase for hardness on cymbals.

심벌의 단단함을 위해 증가시키십시오.

4. Reduce to decrease "s" sound on singers.

가수의 치찰음을 낮추고자 할 때, 감소시키십시오.




15KHz

1. Increase to brighten vocals (breath sound).

보컬의 밝은 소리를 위해 증가시키십시오.(숨소리)

2. Increase to brighten cymbals, string instruments and flutes.

심벌, 현악기와 플루트를 밝게 하기위해 증가시키십시오.

3. Increase to make sampled synthesizer sound more real.

신디사이저의 샘플소리를 보다 사실적으로 만들고자 할 때 증가시키십시오.



Excerpt from: 골든이어스 (http://goldenears.net)

'Sonidos e Instrument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Yamaha Motif ES7  (0) 2010.09.09
Wood Description  (0) 2010.09.07
줄 갈다 +_+  (0) 2010.09.05
Blade, black and white  (0) 2010.09.05
2학기(?) 대비한 줄과 줄닦개(?)  (0) 2010.08.29
posted by Coolpepper
prev 1 next